반응형

2025/03/14 3

삶의 철학

망월( 望月 ) 신독재 김집(金集, 1574~1656)신독재(愼獨齋) 김집 선생은 ‘망월(望月)’이란 시에서 달의 차고 기우는 모습을 통해 인생의 변화무쌍함과 그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消長循環莫恨遲 (소장순환막한지)從來天道貴盈虧 (종래천도귀영휴)若使圓精長不缺 (약사원정장불결)世間耽賞豈如斯 (세간탐상기여사) 소장 순환 그 기간이 더디다고 한탄하지 말게나하늘은 원래부터 차고 기우는 것을 좋아한다네만약에 저 달이 변함없이 늘 둥글다면이 세상에서 구경거리로 그렇게까지 안 여기리 https://gamma.app/docs/Untitled-9sdjulmn2gqwuce?isFirstMobileDocGeneration=true&mode=doc 우주란 본래 있는 것이다. 범위를 좁혀 지..

심학도( 心學圖 )를 보면서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인심(人心)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본능적인 마음입니다. 양심(良心)은 순수하고 깨끗한 어린아이의 마음을 의미하며, 이를 '적자심(赤子心)'이라고 합니다.도심(道心)이성과 도덕성을 통해 발전시켜야 할 이상적인 마음입니다. 본심(本心)은 우리 안에 잠재된 진정한 자아를 의미하며, 이를 깨달아 실천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대인심(大人心)이라고 합니다. 마음 공부의 시작: 경(敬)과 신독(愼獨)경(敬)의 중요성마음이 내 몸을 운영하는 주재(主宰)라면, 경(敬)은 내 마음의 주재가 됩니다. 공경함을 바탕으로 마음을 다스립니다.신독(愼獨)남이 보지 못하는 가운데 자신만 알 수 있는 마음속의 경지를 중요한 공부 과제로 삼았습니다.극기복례(克己復禮)욕망의 늪에서 벗어나 본래의 본마음으로 돌아가..

지혜로운 삶 2025.03.14

공자의 배움과 지혜에 관한 성찰

공자의 배움과 지혜에 관한 성찰본 문서는 공자의 핵심적인 가르침 중 배움의 기쁨과 인간관계의 가치, 그리고 참된 군자의 자세에 관한 심오한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공자의 말씀을 통해 학문의 진정한 의미와 인간 삶의 지혜를 탐구하며,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고전적 가르침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1.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 유붕이 자원방래면, 불역락호아? 인부지이불온이면, 불역군자호아? The master said,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 Is it not delightful to hav..

지혜로운 삶 2025.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