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삶
절차탁마(切磋琢磨) - 갈고 닦는 삶!
단산학당
2025. 4. 1. 12:20
반응형
절차탁마(切磋琢磨) - 갈고 닦는 삶!
짐승의 뼈를 갈아서 유용한 도구로 만들 때, 먼저 자르고, 그 잘린 부분을 매끄럽게 갈아서 손에 쥐기 쉽게 만드는 것을 절차(切磋)라고 합니다. 옥석을 가공해서 팔찌나 귀고리, 반지 등의 장신구를 만들 때, 밑그림을 그리고, 거기에 맞도록 파내고, 매끄럽게 갈아내는 작업을 탁마(琢磨)라고 합니다. 이 과정은 한두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쉼 없이 살펴보고 갈아내며 흠잡을 데 없을 만큼의 노력이 더해지는 것이 절차탁마의 핵심입니다.
절차탁마의 의미와 가치

성공! 누구나 바라는 것이지만,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이 목표를 설정하고, 그 형태를 만들고, 다듬어 가면서 내면적인 강인함과 외적인 부드러움을 겸비할 때, 자신도 만족하고 남들도 함부로 대하지 못합니다. 작은 뿔을 다듬는 일도 그렇고, 나무를 조각하여 멋진 작품을 만들 때도 그렇습니다.
하물며 인생에 있어서야! 나이 40이 되면, 자신의 얼굴을 책임져야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작품의 형태가 밖으로 드러나듯, 그 사람의 삶의 모습이 얼굴에 쓰여 있다는 의미입니다. 내면이 먼저 채워지면, 밖으로 그 문양이 드러나는 법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한 마디로 절차탁마라고 합니다.
절차탁마를 삶에 적용하는 방법
절차탁마(切磋琢磨)를 삶에 적용하는 것은 지속적인 자기 개선과 성장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목표 설정
- 명확한 목표: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이는 학업, 직업, 취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단계적 계획: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세분화하여 계획을 세웁니다.
지속적인 학습
- 독서와 공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꾸준히 공부하고 독서합니다.
- 피드백 수용: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개선합니다.
자기 성찰
- 자기 평가: 정기적으로 자신의 행동과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 찾습니다.
- 명상과 기록: 명상이나 일기 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고 반성합니다.
절차탁마의 실천과 균형
실천과 반복
- 꾸준한 노력: 작은 일이라도 꾸준히 실천하며, 반복을 통해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를 통해 배우고 성장합니다.
균형 잡기
- 휴식과 재충전: 과도한 노력으로 지치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과 재충전을 합니다.
- 건강 관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합니다.
절차탁마는 단순히 한 번의 노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 개선과 성장을 위한 과정입니다.